날마다 새로운 길,
마을과 더불어 사는 삶

윤용병 ㈔한생명 운영위원장

36

전북 남원시 산내면, 마을로 접어들어 제일 먼저 다다른 마을 꼭대기의 작은 집. 집 마당에 핀 매화와 산수유꽃이 어느새 찾아온 봄을 전하고 있었다. 5년 전 산내면에 귀농해 ㈔한생명에서 산내 마을의 교육, 복지, 공동체를 지원하는 일을 이어온 윤용병 운영위원장. 그가 처음 귀농해서 이 작은 집에 살던 때를 이야기하는 얼굴에도 봄 같은 미소가 어린다.
“이 집에서는 아침에 눈을 뜨면 겨우내 얼었던 물이 다시 흐르는 소리를 듣고 봄이 온 걸 알았어요. 내가 정말 귀농했구나, 실감하며 매일 새롭고 마음 설렜죠. 이곳에서 아침을 맞을 수 있다는 게 감사했어요.”

삶의 전환, 나 자신과 다시 만나다
귀농을 생각하기 전까지, 윤 위원장은 서울에서 20년간 기획 일을 했다. 새벽에 출근해 늦은 밤에 퇴근하느라 매일 아이의 자는 얼굴만 보고 나오는 것이 일상이었다. 좌우 살필 겨를 없이 앞만 보고 달리는 삶을 살던 어느 날 문득 ‘이렇게 사는 게 맞나’라는 물음이 찾아왔고, 다른 길을 고민하며 귀농학교를 찾아보던 차에 인드라망생명공동체의 불교귀농학교를 만났다.

한생명에서 공동운영하는 실상사 농장의 농장지기 김태준 씨와 윤 위원장. 산내면 마을 공동체를 일군 실상사 귀농학교의 터전이자, 20년 동안 친환경 농업을 이어온 농장의 땅은 부드럽고 폭신하다.
한생명에서 공동운영하는 실상사 농장의 농장지기 김태준 씨와 윤 위원장. 산내면 마을 공동체를 일군 실상사 귀농학교의 터전이자, 20년 동안 친환경 농업을 이어온 농장의 땅은 부드럽고 폭신하다.

“도시에서 급하고 바쁘게 살다가 귀농학교에 가니 낯설었지만, 그 분위기가 마음을 차분하게 해주더라고요.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운동은 우리 삶의 결을 바닥부터 바꾸는 운동이다’라는 표어를 읽고 이렇게 살고 싶다고 생각했죠. 그전까지는 마음의 창이 주로 밖을 향해 있었다면, 그곳에서 참 오랜만에 나 자신을 돌아보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그 때 남은 생에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면서 귀농을 마음먹었어요. 삶의 중요한 전환점을 만난 거죠.”

인드라망대학, 실상사 작은학교, 한생명, 실상사 네 곳에서 모인 산내면의 ‘작은 공동체’ 식구들은 매주 수요일 실상사 농장에 모여 농사일을 함께 한다. ⓒ한생명
인드라망대학, 실상사 작은학교, 한생명, 실상사 네 곳에서 모인 산내면의 ‘작은 공동체’ 식구들은 매주 수요일 실상사 농장에 모여 농사일을 함께 한다.    ⓒ한생명

귀농학교를 졸업하고는 6년간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도시텃밭을 일구고, 양양에 빈 집을 구해 1년 내내 주말마다 가서 300평의 유기농 텃밭을 혼자 가꾸기도 했다.
“주중에는 출근하고, 주말에는 꼬박 밭일을 했지만 자연에서 계절 따라 살면서 힘든 줄도 모르고 즐거웠어요.”
이후에도 윤 위원장은 완주 고산산촌유학센터에서 ‘농사선생님’으로 지내며 아이들을 만나고, 마을공동체를 준비하는 지역을 찾는 등 다양한 귀농의 길을 모색했다. 그러던 중 산내면 마을공동체와 인연이 닿아 한생명에서 마을 일을 시작하게 됐다.

한생명에서 운영하는 친환경 매장, 느티나무. 마을 농민과 친환경 농사를 짓는 소농들의 농산물로 벽 한쪽을 가득 채웠다.
한생명에서 운영하는 친환경 매장, 느티나무. 마을 농민과 친환경 농사를 짓는 소농들의 농산물로 벽 한쪽을 가득 채웠다.

꾸준히 함께하며, 마을에 뿌리 내린다
남원시 산내면은 인드라망 귀농학교를 계기로 정착한 귀농귀촌인들이 농촌에서의 자립과 공생을 고민하며 활발한 공동체문화를 만들어온 마을이다. 이 문화를 바탕으로 지난 6년간 윤 위원장은 한생명의 다양한 공동체·교육·복지 활동을 통해 마을에 활력을 더하는 데 힘써왔다. 그 결과 지금 산내 마을에는 텃밭모임, 노자 읽기모임, 목공 동아리 등 자발적으로 모여 즐거운 것을 함께 하는 마을 동아리가 50여 개에 이를 만큼, 산내 귀농인들의 교류가 활기를 띠고 있다.
나아가, 한생명은 귀농인과 산내면 토착민이 어떻게 어울려 살지를 고민하며 독거노인을 위한 반찬나눔․한글교실․마을돌봄 등 귀농인들이 마을 어르신들과 만나는 다양한 재능나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재능나눔 활동에 대해 발표할 때 제 첫마디가 ‘웬만하면 이 사업 하지 마세요’ 였어요. 어르신들이 처음에는 귀농인을 경계하다가도 한번 관계를 맺으면 정을 깊이 주고 계속 기다리시기 때문에, 관계에 대한 책임이 없다면 함부로 시작해선 안 되는 일이에요. 책임이 따르는 만큼, ‘귀농인의 날’이라고 일회성 행사를 치르는 것 보다는 이런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귀농인과 토착민이 서로를 이해하고 마을에 정착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고 봐요.”

농부의 깨달음, 더불어 사는 삶
“마을 일이 때로는 너무 힘들어 그만두고 싶을 때도 있지만, 그럴 때마다 중심을 잡아준 깨달음이 있어요. 그건 우리 중 누구도 홀로 존재할 수는 없다는 것, 그리고 모든 것은 순환하며 영원한 것은 없다는 것. 그러니 서로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거지요. 농사를 짓다 보면 이 사실을 금방 깨닫게 돼요. 저도 텃밭농사를 하면서 이 깨달음을 몸으로 배웠어요.”

39-1

한생명에서 운영하는 나눔꽃 가게. 6년째 마을 주민과 외지인들이 안 쓰는 물건을 기증받아 팔며 나눔과 업사이클링으로 대량생산․대량소비의 고리를 끊는 실험을 하고 있다. 기증 받은 물건을 멋지게 리폼하는 마을의 바느질 모임도 함께 한다.
한생명에서 운영하는 나눔꽃 가게. 6년째 마을 주민과 외지인들이 안 쓰는 물건을 기증받아 팔며 나눔과 업사이클링으로 대량생산․대량소비의 고리를 끊는 실험을 하고 있다. 기증 받은 물건을 멋지게 리폼하는 마을의 바느질 모임도 함께 한다.

지속 가능한 마을살이를 위해서는 활발한 공동체 문화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마음 안에 깨달음과 평화가 머무는 것, 개인과 공동체가 서로 비움과 채움의 균형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말하는 윤 위원장. 농촌에서 마을살이를 하며 어려움을 느낄 때마다 그를 움직이는 힘은 무엇인지 물었더니, 반짝이는 눈으로 ‘설렘’이라는 답을 주었다.
“아침에 눈뜨면 보이는 집 건너편의 감나무가 똑같아 보여도, 매일 다르고 매일 새로운 날이라는 것. 새로운 사람과 일, 무엇보다도 자연을 만나게 된다는 것에 대한 설렘의 힘이 커요. 봄마다 텃밭에 씨앗을 심고 매일 들여다보면 어느 날 그 작은 씨앗이 땅 위로 올라와 열매를 맺는다니, 너무나 설레는 일 아닌가요?”

윤 위원장이 이야기하는 설렘에서 문득, 봄의 기운이 전해져온다. 작은 씨앗이 매년 봄 두터운 땅을 뚫고 올라와 잎을 피우듯이, 농촌에서 마을과 더불어 사는 삶 역시 때론 힘들지라도 늘 서로의 존재 덕분에 살아가는 우리의 삶을 지탱해온 ‘오래된 미래’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순간이다.

글·사진 유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