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산장학생 2018 동계연수기
지난 2월 20~22일, 「대산장학생 2018 동계연수」가 있었다. 평화나무농장(경기 포천시), 논밭예술학교(경기 파주시), 은아목장(경기 여주시), 씨알살림축산(경기 이천시), 가온들찬빛농장(경기 양평군) 등 경기도 지역의 다양한 농업현장을 둘러보며 ‘농農’과 동행하는 이들과의 만남에서 보고 느낀 장학생들의 기록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농업을 즐기는 날’을 꿈꾸게 해준 평화나무농장
유기농은 나와 땅, 우리 모두의 미래를 지키는 일
유기 농사를 짓는 부모님을 새롭게 이해하게 된 ‘만남’
경기도 포천에 자리한 평화나무농장의 김준권, 원혜덕 대표님은 생명역동농법을 통해 작물과 가축을 키우고 있다. 김준권 대표님은 식량 증산이 최고 목표였던 1970년대부터 유기농업을 꾸준히 하며 생명역동농법BIO-Dynamic Agriculture을 우리나라에 도입하고 실천하며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알리고 있다. 김 대표님은 “좋은 재료가 좋은 음식을 만든다.”며 내 몸의 세포는 내가 선택한 것에 의해 생성된다고 말씀하셨다. 또한 유기농은 몸의 건강뿐 아니라 땅의 건강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셨다.
귀농해 유기 농사를 짓고 계신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릴 적부터 많이 접한 유기농은 내게 너무나 친숙했다. 그렇지만 항상 내 주변 가까이 있는 것이었기 때문인지, 유기농 식품은 내게 그저 ‘덜 맛있는 음식’이라고 여겨졌다. 연수 전까지만 해도 ‘아버지는 왜 굳이 이렇게 힘들게 작물을 기르실까? 이렇게 열심히 작물을 기르면 누가 알아줄까?’라는 생각을 가끔 했다. 하지만 김 대표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유기농의 가치가 진심으로 와 닿았다. 좋은 것을 먹어야 건강해질 수 있고, 후세에 물려줄 땅을 지키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까지 많이 생산해서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여겼던 내가 부끄러웠다. 그 누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묵묵히 유기농을 고수하는 농민에게 감사함을 느끼게 되었다. 유기농을 하는 것은 쉽지 않고, 농약 없이 상품성 있는 작물을 기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김준권 대표님은 이렇게 힘든 일을 계속할 수 있는 이유는 “일을 즐기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은 힘이 들지 않고 즐겁다는 이야기다. 더운 여름에 아버지의 농사일을 돕는 것은 내게 너무나 힘든 일이었지만, 내가 좋아하는 사진 찍기와 음악을 할 때는 어렵고 막히는 것이 있어도 즐기면서 해결하고 별로 힘들지 않았던 것 같다. 농사를 즐기면서 할 수 있다면 그만큼 행복한 일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인안 / 대산농업리더장학생, 충북대 산림학과
“농사는 예술, 농부는 예술가입니다” 논밭예술학교
‘콩 세 알을 심는 농부의 마음’
이 땅의 흙과 생명을 소중히 다루는 것이 우리의 사명
논밭예술학교에서 만난 천호균 쌈지농부 대표님은 농사를 ‘예술’로 정의했다. 작가가 긴 고뇌 끝에 위대한 작품을 만들 듯, 농부는 오랜 시간 정성 들여 생명이 깃든 곡식과 농산물을 창조해낸다. 시를 짓듯, 소설을 짓듯, 그렇게 농부는 땅과 곡식을 짓는다. 천 대표님은 농사를 가장 위대한 예술 작업 중 하나라고 하셨다.
미국의 농부시인 웬델 베리도 「온 삶을 먹다」에서 농부는 “하느님 신비의 분배자”라고 표현했다. 만물과 대지를 창조하고 가꾸어가는 신의 역할을 농부는 작물을 돌보며 깨닫고, 그 신비를 직접 자연 속에서 실천한다. 이러한 섭리를 발견해 ‘창조’라고 표현하고, 신의 창조와 가장 가까운 것이 바로 ‘농’이라고 하신 천 대표님의 말씀이 인상 깊었다. 실제로 성경에는 “You are GOD’s husbandry(너희는 하나님의 밭이요)”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하나님이 사람을 정성스레 일구고 가꾼다는 뜻이다. 신이 인간을 한 평의 소중한 ‘밭’처럼 다루는데, 그 신의 손길을 받는 인간도 이 땅의 흙과 생명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는 땅속 벌레, 하나는 하늘 동물, 하나는 이웃을 위해 콩을 심는다는 농부의 마음. 쌈지어린이농부학교에서는 처음 한해 텃밭농사를 시작할 때 이 ‘콩 세 알을 심는 농부의 마음’을 가르친다고 한다. 자연과 공존하고 이웃과 나누기 위해 짓는 한 평의 밭을 정성스럽게 가꾸는 ‘농’의 정신을 기억하면서 살면, 흙과 생명과 자연을 대하는 나의 태도도 조금씩 달라지지 않을까? 농업을 ‘예술’로 정의하고, 농업에 디자인을 접목해 새로운 문화를 일구어가는 ‘쌈지농부’와 논밭예술학교의 활동 또한 이미 그 자체로 타자와는 전혀 다른 자신만의 ‘창조’를 이루어가고 있는 것 같다.
조현아 / 대산농업전문언론장학생, 세명대학교 저널리즘스쿨대학원 농업PD과정
유기축산의 가능성을 확인한, ‘씨알살림축산’
1990년대 초부터 친환경 축산․가공
이익보다 ‘옳은 방식’을 찾다
졸업 후 유기축산을 할 계획을 세우며 ‘유기 농산물, 유기 축산물을 생산하더라도 그것을 어떻게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을까?’ 항상 고민했는데, 이번 씨알살림축산 방문을 통해 유기 축산물만 취급하여 가공품을 만드는 곳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씨알살림축산은 1990년대 초부터 친환경으로 기른 가축을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다. 선구자적인 도전이었기에 초창기에는 투자에 따른 큰 손실을 감수하셨겠지만, 시대의 주류에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농업을 실천하는 모습을 본받아야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중학교 3학년 때부터 농부라는 꿈을 가지고 농고-농대에 진학했지만, 최근에는 여러 가지 현실과 직면하고 다른 삶의 가능성을 살피며 어릴 적 꿈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가끔은 나 자신에게 정말 내가 농업을 사랑하고 종사하고 싶은지 의문이 들던 시기도 있었다.
농업이란 스스로 생각해도 옳은 것, 남이 생각해도 맞는 것을 실천한다면 성공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처음엔 그 길이 울퉁불퉁한 길이더라도, 나 자신이 확신하며 갈고 닦는다면 이후엔 모든 사람이 인정하며 그 길을 따라갈 것이다. 눈앞의 이익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부심을 느끼며 뜻을 실천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런 농업을 하고 싶다.
홍해송 / 대산농업리더장학생, 전남대 동물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