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을 맞은 대산농촌문화상, 또 한 번의 도약

-농업공직부문, 농업 농촌 정책 부문으로 부활

143
대산농촌문화상이 제정 20년을 맞았다.

1991년 재단이 설립된 후 그간 소외되고 침체되었던 우리 농업계에 활력을 넣어줄것이라는 농업계의 기대가 컸다. 이러한 기대 속에 창립자 대산 선생의 설립 철학에 따라 제정한 것이‘대산농촌문화상’이다. 대산농촌문화상은 이전 우리 농업계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큰 상이었다. 당시 개인 3천만원, 단체 5천만 원이라는 큰 상금 규모도 놀라웠지만, 또한 과거의 업적 못지않게 미래 발전 가능성에 큰 비중을 두고 수상자를 선정한다는 원칙도 다른 상들과 차별화되었다.

대산농촌문화상은 지난 1992년 제1회 시상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전해왔다. 그동안 정부나 농업단체에서 많은 시상제도가 생겨났고, 농업관련 재단들이 설립되면서 농업계 상의 규모가 많이확대되었다. 그러나 대산농촌문화상은 농업인들이 가장 받고 싶어 하는 상으로 손꼽힌다. “대산농촌문화상 수상은 농업계에서 최고로 인정받는 것이라는 생각이 농업계에 널리 퍼져있다”고 농업인들은 말한다. 또한 지난 19년간 대산농촌문화상 수상자 95명은 수상이후 더욱 활발한 활동으로 농업계를 이끌며 대산농촌문화상의 가치를 드높이고 있다.
재단은 지난 20년 동안 상의 위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 엄격한 선정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첫째, 공적이 많다는 것만으로 평가를 하지 않는다. 수상 공적이 가장 중요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공적을 발전 시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다. 또한 개인의 성공 뿐 아니라 얼마나 농업과 농촌발전에 기여했는가를 실핀다.
둘째, 부문별로 단 한 명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적합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엔 선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공적의 우열을 쉽게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경합하는 경우에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한 명의 수상자만을 선정하고, 수상기준에 적합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에는 선정하지 않는다.

재단은 2010년부터 진행해온 시상 운영체계 정비작업을 마무리하고 2011년, 제20회 시상부터 적용해 대산농촌문화상의 위상과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다.
먼저 2008년 대산농촌문화상 개정 때 폐지했던 농업공직부문을‘농업·농촌 정책부문’으로 부활시켰다. 1992년 제정 후 2008년 개정 전까지 농업공직부문을 통해 우리 농업, 농촌현장에서 묵묵히 일해 온 농업공직자와 농업공직단체를 격려해왔다. 2008년 시상부문이 농업기술부문, 농업경영부문, 농촌발전부문으로 통합된 후, 농업공직자와 농업공직단체는 각 부문에서 농업인,
농업단체와 불가피한 경쟁을 하게 되었다.
144농업공직자의 역할과 업무 성격이 농업인들과 많은 차이가 있고, 공적내용을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 평가하는 것이 어려워시상부문에 대한 명확한 성격 규명이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재단은 2010년 시상개선위원회를 구성, 대산농촌문화상 역대 심사위원을 비롯하여 농업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농업공직부문을‘농업·농촌정책부문’으로 부활시켰다.
새로 도입한 농업·농촌정책부문은 농업발전과 농업인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거나 농업인 교육 및 농업정책 입안, 기타 농업인 지원 등을 통해 농업·농촌의 발전과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뚜렷한 공적을 쌓은 공직자 또는 공직단체에게 수여한다.
이와 함께 농업기술부문, 농업경영부문, 농촌발전부문 역시 시상기준을 새롭게 확립했다.
이밖에 심사위원 풀을 다양화하고 심사과정을 더욱 강화해 심사원칙에 적합한 수상자를 선정할 것이다. 부문별심사에 있어 현장 실무경험이 풍부한 심사위원을 참여시키고 현장실사 기준을 강화해 수상자 공적을 정확히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계속적으로 공적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발전가능성이 있는 수상자 선정’원칙에 주안점을 두고 심사기준을 강화했다.
농업분야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대산농촌문화상은 시행 20년을 맞아 또 한번의 도약을 시도한다.
글·강승희 /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