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꼭 지키고 싶은 것
글·사진 이인안
숲은 나에게 어릴 적 마음껏 뛰놀던 놀이터였고, 지금은 부지런히 움직이는 일터다. 철마다 다른 색의 푸르름과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산이 좋[...]
농업인의 자긍심, 제32회 대산농촌상 수상자
우리 농업계 최고 권위의 상, 대산농촌상의 제32회 수상자가 선정되었다.
•농업경영 부문 박이준 (사)청도한재미나리생산자연합회 회장• 농촌발전 부문 권혁범 (사[...]
농산물 온라인 유통이 ‘축복’이 되려면
글 양석준
온라인 유통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안녕하세요? 계신가요?” 제주에서 레몬 농사를 짓는 이종숙 씨(가명, 52세)는 하우스에서 일하다 갑자기 들리는[...]
우리가 만난 농촌이 모두 아름다웠던 이유
글 신수경 편집장
2023년 5월,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알고이 지역의 농림부라 할 수 있는 켐프텐 식품농림청에 도착했다. 단정하고 소박한 건물 앞 세움간판[...]
우리 술, 좋아하세요?
글 이대형
가을에 들어서면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기대하게 된다. 직접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이라도 황금 들판과 나무에 매달린 탐스러운 과일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농민과 같이 크고 함께 살아요
홍서연 미르당 대표
전남 장성군에는 지역 농산물이 ‘힙’해지는 공간이 있다. 장성역에서 차로 5분이면 도착하는 ‘미르당’은 단호박, 사과, 깨 등 지역 농산[...]
포도 4500송이, 기적이 아닌 땀의 결실
도덕현 도덕현유기농포도원 대표 (제31회 대산농촌상 농업경영 부문 수상자)
빗방울이 토도독, 비닐하우스를 두드리는 여름날이었다. 도덕현 씨를 따라 포도덩굴 [...]
무엇을 먹어야 건강합니까?
‘이어짓기’는 하나의 주제로 여러 명의 필자가 집필한 에세이를 이어서 소개하는 코너로, 지난 호 필자 조두진 씨에 이어 임재양 씨가 ‘농촌에 관한 단상[...]
우리 농업이 건재하고 농가가 튼튼해지려면
글 이정환
최근 정부, 정치권, 농민단체가 모두 쌀값 지지를 위한 시장격리와 대체작물 지원 문제에 매달리는 사이, 채소와 밭작물은 대부분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

2023 농하우
전문가에겐 뭔가 특별한 ‘농하우’가 있다 대산농촌재단이 공식 유튜브 계정을 통해 농업, 농촌 정보를 […]
…
![[크기변환]56](https://webzine.dsa.or.kr/wp-content/uploads/2023/09/크기변환56-800x600.jpg)
2023 대산장학생 하계연수 등
대산소식 2023 대산장학생 하계연수 자립·혁신·상생으로 농農의 가치를 높이다 재단은 지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