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 마을의 작은 기적

황준환 알프스 마을 위원장

25
이런 우연이, 청양의 해에 청양으로 가는구나. 충남 청양군 알프스 마을로 가는 여정이 예사롭지 않게 느껴졌다. 마을에 들어서니 와글와글 시끌벅적 분주하다. 흔한 겨울 농촌과 사뭇 다른 풍경 을 보며, 깊은 산 속 작은 마을의 이야기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매표소를 지나니 불쑥불쑥 솟아있는 얼음 분수와 다양한 테마의 눈 조각, 얼음조각들이 차례로 반긴다. ‘명량’의 거북선도, 휴대폰 속 도도한 소녀 이모티콘도, 겨울왕국의 엘사, 안나와 올라프도 막 튀어나온 것 같이 똑같다. 때마침 이곳을 찾은 어린이들은 눈썰매와 얼음 썰매, 얼음 봅슬레이를 타고 내달릴 생각에 벌써부터 상기되어 있다. 해마다 ‘칠갑산 얼음 분수축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이렇게 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축제를 먼저 즐기며 마음껏 놀 수 있다.
25만 명. 겨울 얼음 분수축제를 시작으로 여름 세계조롱박 축제, 가을에는 콩 축제로 알프스 마을은 도시민들을 불러 모은다. 칠갑산 기슭, 100여명이 모여 사는 작은 농촌 마을에서 일어난 놀라운 기적이다.

알프스 마을은 마을축제를 통한 지역 활성화 사례로 손꼽힌다
알프스 마을은 마을축제를 통한 지역 활성화 사례로 손꼽힌다
얼음 분수축제에는 얼음 썰매, 봅슬레이, 짚트랙 등 농촌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놀 거리가 있다.
얼음 분수축제에는 얼음 썰매, 봅슬레이, 짚트랙 등 농촌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놀 거리가 있다.

“주인이 왕”인 축제, 25만 명이 몰린다
축제를 준비하는 손길들이 바빠지고, 총지휘하는 황준환 위원장(53)의 목소리도 한층 높아진다. 이쪽에서 인공제설기를 작동하나 싶으면 어느새 눈 조각 현장에 가 있다가 짚트랙 안전요원에게 지시한다. 먼저 타봐라, 불편하지 않은가.
“농촌사업을 하려면 손님이 왕이라는 생각을 하면 안 돼요. 주인이 왕이에요. 자기 마을의 특색을 주도적으로 살려 손님이 따라오면서 즐기게 해야 하는 거예요. 주인이 왕이 되면, 주인이 맞이하는 손님들은 더 극진한 대접을 받게 되는 거겠죠.”
마을에서 일하는 직원 19명은 대부분 마을 주민이고, 축제 때가 되면 보조 인력 40여 명 이상이 충원된다. 그러고 보니, 젊은 사람들이 유난히 많다.
“주로 지역 청년들이에요. 학기 중에는 공부하고 방학 때면 이렇게 고향에 와서 아르바이트하는 거죠. 숙식이 해결되면서 한 학기 등록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좋은 일자리가 되겠죠.”
축제가 열리면 풍성한 먹거리도 많다. 파는 군고구마, 장작불에 직접 구워 먹는 군밤, 옥수수도 다 마을에서 나왔다. 마을 주민들은 안정적인 판로가 있어 마음 놓고 농사를 짓고, 축제 때는 나와 도우며 농외소득을 올린다. 그런데 축제치고는 음식이 생각보다 다양하지 않다. 떡국과 국밥 그리고 우동, 어묵 정도다.
“우리가 이것저것 많이 팔면 지역의 식당들이 어려워지잖아요. 그래서 간단한 것만 팔아요. 그래야 지역 경제도 살아나는 거죠.”
지역이 먼저, 그리고 남을 돕는 일은 즉시, 해야 한다고 황준환 씨는 말한다.
“내가 1억 원을 모은 다음에 (사회공헌을) 한다, 그러면 못해요. 많으면 많은 대로, 적으면 적은 대로 항상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해마다 독거노인들에게 내복값을 지원하고, 아픈 노인에겐 의료비를, 지역 초등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일은, 알프스 마을의 전통행사가 되었다.

고구마, 군밤 등 마을 주민들이 생산한 농산물로 풍성한 먹거리를 만들었다.
고구마, 군밤 등 마을 주민들이 생산한 농산물로 풍성한 먹거리를 만들었다.

서울서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이 왜 시골에 왔대?
금의환향은커녕, 명문대 입학과 함께 서울로 유학 갔던 황준환 씨는 10년 고시 공부를 정리하고 고향으로 내려온다. “잠시 머물다 갈 생각이었다”는 황준환 씨를 2003년 어느 날, 마을 이장이 불렀다. “나 이거 모르겠네.” 새로운 농촌 마을 권역 단위 사업이 천장리를 포함한 5개 마을에 떨어진 것.
“농촌 마을 종합개발 사업은 상향식 농촌 마을 사업이에요. 예전엔 위에서 이렇게 하라 내려왔는 데, 이건 우리가 무엇을 할지 계획하고 실행하는 거죠.” 도움을 요청받은 그는 먼저 마을의 자원을 찾았다. 마을 사람들은 농사를 지어 먹고 사는데, 마을 대부분이 산이고, 농경지는 18ha에 불과했다. 그럼 무엇이 있을까. 천장호의 깨끗한 물, 그리고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 산. 그걸 자원으로 생각하자 도시민과의 교류가 떠올랐다. “다른 마을이 회관을 리모델링하고, 하천을 정비하는 동안 우리는 도시 사람들에 맞춰 사업을 진 행했어요. 도농교류센터를 만들고 축구장을 세웠죠. 떡메치기, 미꾸라지 잡기에 눈높이가 맞춰져 있던 마을 사람들의 눈초리가 따가웠지요. 뭔가 생기는 게 있으니까 저렇게 하는 거 아니냐 하는 오해로 자꾸 (위에) 진정을 넣었어요. 결국, 2006년도 중간 평가에서 전국 꼴찌를 했어요. 이듬해 해당 사업이 전면 중단되었죠.”

그 이후 그는 마을 주민들과 더 많이 소통하려고 노력했다. 2007년 겨울 얼음 분수축제를 기획하고 준비하면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지만, 황준환 씨는 반목했던 이들까지 감싸 안으며 마을의축제를 발전시켰다.
그는 기업의 시스템을 마을사업에 적용했다. 직원들(마을 사람들)의 인사고과를 관리해 성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주고, 회계전문가가 회계를 전담하여 투명하게 경영하며, 마을 총회 때는 참석자에게 회의 수당을 지급했다. 축제는 위원장이, 행정은 이장으로 이원화해서 운영하는 등 시스 템이 갖춰지면서 마을 기반도 튼튼해졌다. 2009년 0원으로 시작한 마을의 자산은 이제 수십억 원에 이른다. 마을 소득도 10배 이상 올랐고, 주민들은 농외소득뿐 아니라 수익 배당금까지 받는다.

여름에는 세계조롱박 축제로 사람들을 불러모으고, 조롱박 화장품으로 마을 사업의 영역을 넓힌다.
여름에는 세계조롱박 축제로 사람들을 불러모으고, 조롱박 화장품으로 마을 사업의 영역을 넓힌다.
사람이 가장 큰 자원이라 말하는 황준환 씨. 마을에서의 역할도 재능에 따라 부여한다.
사람이 가장 큰 자원이라 말하는 황준환 씨. 마을에서의 역할도 재능에 따라 부여한다.

결국, 사람이다
여름 조롱박 축제 때 태풍을 맞아 떨어진 박을 어떻게 활용할까 하는 고민에서 탄생시킨 조롱박 화장품을 비롯해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화장품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는 황준환 씨. 그는 마을의 가장 큰 자원이 사람이라 강조한다. 마을에서의 역할도 사람의 재능에 따라 결정한다. 그리고 귀농인은 아주 좋은 자원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사람입니다. 도시에서 귀촌을 꿈꾸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아요. 귀농 · 귀촌 정책 따로 펼칠 게 아니라, 이들이 자발적으로 농촌에 올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행정단위가 점점 커지면서 옛날의 정겨운 작은 마을 단위가 사라지고 있는 때, 황준환 씨는 다른 기능과 장점을 가진 다양한 마을들이 모여 지역을 이루고 함께 성장하는 그림을 그린다. ‘농업으로 지속 가능한 농촌’은, 부러운 유럽의 이야기만은 아닐 터이다.

글·신수경 / 사진·김미연